건강을 지켜주는 나무들

♣♤ 몸에 좋은 산야초‥‥‥‥♤ 62

계수나무

서울역앞을 가로질러 만리재로 이어지는 고가차도를 정비하여 서울로 1017로란 명칭을 붙여 설치된 가로공원에 심어져 있는 달나라의 계수나무에 대한 글이다... 계수나무 (계수) 염료용, 지붕용, 향료용, 소아의 경풍과 팔다리의 냉한 것을 다스리는 계수 "최영전"의 에는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 계수나무는 중국과 일본 남부지역서만 자생하는 수형이 아름다운 웅장한 거목의 하나로서 높이가 30 m, 흉고직경이 2m에 닿하는 큰키나무다. 봄에 싹틀때 색이 빨갛게 되므로 무척 아름다우며 우리나라에도 들어와 심어져 있어 큰 나무를 여기 저기서 볼 수 있다. 계수나무를 계수(계수)라고도 쓰지만 중국 이름은 아니다. 계는 일본에서 붇여준 한자명이며, 이 나무의 중국명은 연향수라 한다. 이 나무의 영명은 이다. 우리나라..

다릅나무

임파선 및 갑상선 질환을 다스리는 다릅나무 항암작용[위암, 갑상선암, 임파선암], 항알레르기작용, 이뇨작용, 항염증작용, 진정작용, 진통작용, 관절염, 종양, 신경쇠약증, 뇌진탕후유증, 산후증, 만성간염을 겸한 신경쇠약증, 류마티스를 겸한 신경쇠약증, 만성간염, 상처, 치통, 사마귀, 장풍변혈, 치혈, 요혈, 혈림, 붕루, 뉵혈, 적백이하, 풍열목적, 옹저창독, 가골, 기관지천식, 만성 기관지염, 진경진정약, 답즙분비약, 임파선 및 갑상선 질환을 다스리는 다릅나무 다릅나무는 콩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이다. 다릅나무의 학명은 이다. 다릅나무속은 동아시아 온대에 8종류가 있고 우리 나라에는 2종이 있다. 다릅나무와 같은속의 나무는 제주도의 산 중턱에 자라는 솔비나무이다. 외모로 볼 때 잎을 언뜻보면 아카시나..

반하(끼무릇)

진해, 거담, 해독, 진정작용이 강한 약재로서 민간에서 잠을 이루지 못하는 증상에 좋은 반하(끼무릇) 특징 및 사용 방법 끼무릇·법반하·소천남성이라고도 한다. 반 여름에 싹이 나와 꽃이 핀다고 하여 반하라는 이름이 붙었다. 땅 속에 있는 알줄기는 둥글며 지름이 1cm 정도인데 여러 개의 긴 실뿌리를 낸다. 잎자루의 밑 부분 안쪽이나 때로는 위 끝에 작은 살눈이 1개씩 생겼다가 떨어져 번식한다. 하늘의 닭인 꿩이 반하를 캐 오라는 천제(天帝)의 명을 받고 지상에 내려와 반하를 캐서 먹어 보고는 하도 맛이 좋아 계속 캐 먹으며 하늘로 올라갈 생각을 않자, 화가 난 천제가 천둥 번개로 호령하여 돌아오기를 재촉하니, 꿩이 '반하를 캐거든 가지고 올라가겠다'며 '캐거덩 캐거덩' 하고 하소연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질 ..

붉나무, 오배자

항암작용, 수렴 작용, 항균작용, 항생육작용, 지사작용, 지혈작용, 억균작용, 선분비억제작용, 간 기능 보호 작용, 항산화 작용, 말기 분문암, 식도암, 궤양성 결장염, 방사성 직장염, 유정, 폐결핵으로 인한 도한, 당뇨병, 조루, 가을철유행장염, 소아설사, 설사, 대장염, 치질, 이질, 위장출혈, 탈항, 토혈, 각혈, 코피, 식은땀, 자한(自汗), 외상성 출혈, 창양, 점막의 염증, 화상, 궤양, 습진, 농가진, 오랜 기침 등을 치료하는 붉나무 붉나무는 옻나무과의 잎지는 작은 키나무이다. 높이는 약 8미터까지 자란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고 겨울눈에는 노르스름한 회색의 가늘고 보드라운 털로 덮여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작은 잎이 7~13장 붙어 있다. 잎자루 양쪽에 뚜렷한 날개가 다렸다. 암수딴그루로 가지..

모과

[모과(木瓜)] (거습, 풍습성 사지마비동통, 신경통, 기침, 천식에 이용) - 거습작용, 복수암 세포 억제 작용, 중풍, 풍습성으로 인한 사지마비동통, 근육의 굴신이 잘 안되는 증상 및 하체의 마비경련, 허리무릎이 시리고 아픈데, 근육이 땡겨서 목을 돌릴 수 없는 증상, 두드러기, 모유부족, 설사, 이질, 복통, 구토, 다리에 쥐가 났을 때, 관절염, 앉은뱅이,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인한 가려움증, 수족근골이 삐어 붓고 아플 때, 얼굴을 희게 할 때, 주근깨, 피로회복, 식욕증진, 자양강장, 진통, 부기 및 부종, 요통, 뼈마디아픔, 더위를 먹었을 때, 각기병, 기침, 거담, 각종 신경통, 감기, 천식, 목쉰데, 토사 곽란, 소화불량, 급성황달형간염, 급성세균성이질, 추간판탈출증에 주사제로 사용해 통증을..

부인병, 혈관계 질환에 단삼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Salvia miltiorrhiza 분류 꿀풀과 원산지 중국 분포지역 한국(경북·강원)·중국·일본 서식장소 산지 크기 높이 40∼80cm 중국이 원산지로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는 40∼80cm이고 전체에 털이 많이 난다. 줄기는 모나고 자줏빛을 띠며 곧게 자라고 가지를 친다. 뿌리는 붉은 색이다. 잎은 마주나고 홀잎 또는 2회 깃꼴겹잎으로 긴 잎자루가 있다. 작은잎은 1∼3쌍으로 달걀 모양 또는 바소 모양이고 밑 부분이 심장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층층이 달린다. 꽃대에 선모(腺毛)가 빽빽이 있다. 포는 줄 모양 또는 바소 모양이고 작은꽃자루보다 짧다. 꽃받침은 길이 8∼10cm의 ..

위암,갑상선암, 풍습성관절염에 다릅나무

성목으로 자란 다릅나무의 수피 다릅나무의 절단면 - 변재부분은 흰색에 가까운 미색이고 심재부분은 검붉은 색을 띤다. 위 사진은 서울근교의 **산에서 11월경에 직접 촬영한 사진 항암작용(위암, 갑상선암, 임파선암), 항알레르기작용, 이뇨작용, 항염증작용, 진정작용, 진통작용, 관절염, 종양, 신경쇠약증, 뇌진탕후유증, 산후증, 만성간염을 겸한 신경쇠약증, 류마티스를 겸한 신경쇠약증, 만성간염, 상처, 치통, 사마귀, 장풍변혈, 치혈, 요혈, 혈림, 붕루, 뉵혈, 적백이하, 풍열목적, 옹저창독, 가골(假骨), 기관지천식, 만성 기관지염, 진경진정약, 답즙분비약, 임파선 및 갑상선 질환을 다스린다. 다릅나무는 콩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이다. 다릅나무속은 동아시아 온대에 8종류가 있고 우리 나라에는 2종이 있..